전승일_AI 영화와 예술

[AI 미디어아트] <꼭두들의 놀이> 중앙미디어아트 공모전 우수상 (감독: 전승일/2025)

미메시스TV 2025. 11. 4. 22:57

 

AI Animated Media art

꼭두들의 놀이

 

감독 프로필

 

전승일 대표감독 소개

2025년 업데이트 전승일 全承逸 Chon Seung-il Biography 1965년 출생명지고등학교 졸업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동국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과 졸업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교수 역임조선대

www.iloveautomata.com

 

우리나라는 고대 삼국시대부터 근대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토우, 장승, 솟대, 나무꼭두, 굿인형, 꼭두각시놀음, 산대놀이, 만석중놀이, 탈춤 등 다양한 전통 인형과 연행 예술이 있었다.

 

꼭두는 인형의 순우리말이다. 꼭두는 <석보상절(釋譜詳節)>(1447)곡도라는 말에서 유래하여 사람의 형상을 본따 만든 물건을 칭하는 말로 쓰여왔다.

 

특히 우리나라 전통 나무꼭두(木偶)는 힘든 길을 함께 지켜주며 동행하는 존재이자, 즐거움과 번민을 함께 나누는 존재이다. 우리의 전통 꼭두가 가진 문화적 가치와 예술적 아름다움, 그리고 다양하고 소박한 형상은 다른 어떤 서양의 인형보다 꼭두의 전통적 의미와 본질을 잘 보여준다.

 

꼭두새벽, 꼭두배기, 꼭두머리 등과 같이 꼭두는 제일 빠른 시간이나 제일 윗부분을 일컫는 용어로서, 이쪽과 저쪽 사이에 있는 경계의 영역을 가리킨다. , 꼭두는 일상적 시간과 공간의 경계에 속하는 것, 혹은 경계선 상에서 나타나는 미지의 환상적 존재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꼭두는 서양 종교의 천사처럼 인간과 초월적 세계를 연결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현실과 꿈, 이승과 저승 사이를 오고 가는 존재인 꼭두는 마치 천사처럼 일상과 비일상의 세계를 넘나들면서, 힘들고 지치고 아픈 이들을 위로하고 보살피고 지켜주는 역할을 한다.

 

본 작품은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문화유산인 꼭두의 이러한 문화적 예술적 의미와 가치에 주목하고,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하여 이를 현대적인 미감의 디지털 영상 미디어아트로 재구성하였다.

 

특히 본 작품은 이러한 꼭두가 친근한 형상으로 우리 곁에서 함께 즐겁게 놀이를 하는 모습을 상상하며 밝고 명랑한 느낌으로 표현하였다. 작품에서 중요한 것은 전통 목공예품의 사실적 재현이 아니라, 디지털 영상 미디어아트를 통해 새로운 시공간성을 경험하고, 자신의 이야기와 연결시키는 것이다.

 

 

AI 미디어아트 [꼭두들의 놀이] trailer (감독: 전승일/2025)

 

AI animation [AI 꼭두극장] trailer (감독: 전승일/2025)

 

 

[전승일 감독 AI 애니메이션 워크샵] "퍼펫&오브제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전승일 감독 AI 애니메이션 워크샵] "퍼펫&오브제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11월중 개강)

전승일 감독 프로필 준 비 중 입 니 다 ⓒ 2025.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ll Rights Reserved.ⓒ 2025.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ll Rights Reserved.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공식 트레일러 제30회 부산국제

www.iloveautomata.com

 

contact to : aniexe@daum.net
 
AI 학습 이용 금지 / 비공개 개인공유 금지
ⓒ 2025. 전승일 All Rights Reserved.

 

<꼭두가 움직여요>展 (2010)

 

전승일 <꼭두가 움직여요>展 전시작품

꼭두, 애니메이션과 만나다! 꼭두박물관, 꼭두가 움직여요>展 개최 꼭두박물관이 오는 7월 24일 새로운 개념과 미학의 특별기획전시를 선보인다.박물관 두 번째 기획전시인 '꼭두가 움직여요'展

www.iloveautomat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