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오토마타 공작소 I Love Automata>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전승일의 <오토마타 공작소 I Love Automata>

메뉴 리스트

  • HOME
  • TAG
  • MEDIA LOG
  • LOCATION LOG
  • GUEST BOOK
  • ADMIN
  • WRITE
  • category (1340) N
    • 공지사항 (114) N
    • 전승일_대표감독소개 (1)
    • 전승일_AI 영화와 예술 (15)
    • 전승일_소셜미디어아트 (24)
    •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13)
    • 신경다양성_장애예술 (2)
    • 오토마타의 역사와 개념 (2)
    • 우리나라 전통 오토마타 (10)
    •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97)
    • 전승일_브런치 연재 (2)
    • 전승일_조립키트 (3)
    • 전승일_오토마타 작품 (106)
      • 전승일_하트 연작 (45)
      • 전승일_죽안거마 연작 (2)
      • 전승일_고구려벽화 연작 (1)
      • 전승일_꼭두 연작 (14)
      • 전승일_기다림 연작 (16)
      • 전승일_마음상자 연작 (3)
      • 전승일_키네티카 연작 (13)
      • 전승일_페이퍼 오토마타 (2)
      • 전승일_윌리긱 (9)
      • 전승일_작품판매 (1)
    • 전승일_오토마타 교육 (207)
      • 교육_자료 (12)
      • 교육_상상마당 갤러리 (50)
      • 교육_바람개비 (15)
      • 교육_어린이_청소년 (51)
      • 교육_대학_성인 (47)
      • 기타 자료 (32)
    • 전승일_기타 자료 (160)
      • 전승일_오토마타 동영상 (33)
      • 전승일_주요 전시 포스터 (1)
      • 전승일_기사_인터뷰 (17)
      • 전승일_에세이 (57)
      • 전승일_기타 갤러리 (52)
    • 전승일_책_오토마타 공작실 (1)
    • 전승일_애니메이션 (25)
      • 전승일_애니메이션 (15)
      • 전승일_애니 컬럼 (10)
    • 예정전시 (1)
    • 현재 전시 (20)
      • 파주시 공공미술 (5)
      • 용산 조에트로프 (2)
      • 어린이 그림책 오토마타 (8)
      • 시민청 군기시 유적 전시실 (5)
    • 지난 전시_1 (79)
      • 한국과학창의재단 (28)
      • 구로문화재단 (4)
      • 경기문화재단 (1)
      • 국립과천과학관 (2)
      • 동해시 문화예술회관 (2)
      • 정읍시립미술관 (1)
      • 인사아트센터 (5)
      • 양평군립미술관 (1)
      • 전라북도과학교육원 (6)
      • 파주 교하아트센터 (14)
      • 서울아산병원 갤러리 (1)
      • 파주 운정행복센터 (1)
      • 파주 솔빛도서관 (1)
      • 일산역 전시관 (5)
      • 수원문화재단 조에트로프 (3)
      • 익산 석제품 전시홍보관 (1)
      • 부산과학체험관 전승일 특별전 (3)
    • 지난 전시_2 (116)
      • 양주 회암사지박물관 (16)
      • 스코틀랜드 무빙토이 특별전 (8)
      • 시흥 EVE 프로젝트 (1)
      • 고구려 벽화 오토마타展 (20)
      • 둘리뮤지엄 오토마타展 (1)
      • 畵畵 - 반려·교감展 (1)
      • 수원 화성 프로젝트 (20)
      • SICAF 전승일 초청전 (2)
      • 죽안거마 오토마타展 (11)
      • KT&G 상상마당 (1)
      • 전곡선사박물관 (7)
      • 포천아트밸리 (9)
      • 대한민국과학기술창작대전 (2)
      • 롯데백화점 김포공항점 (3)
      • 제9회 PLAY! AUTOMATA展 (2)
      • 제8회 [PLAY! AUTOMATA] 展 (5)
      • 제7회 PLAY! AUTOMATA展 (2)
      • 제6회 PLAY! AUTOMATA展 (3)
      • 제5회 PLAY! AUTOMATA展 (2)
    • 지난 전시_3 (52)
      • 파주 책만들며크는학교 (1)
      • 부천로보파크 특별전 (15)
      • 꿈꾸는 오토마타展 (2)
      • PLAY AUTOMATA展 (2)
      • 2012 여수 엑스포 (3)
      • 플레이! 오토마타展 (3)
      • 오토마타,영화와만나다展 (4)
      • 놀자! 오토마타展 (3)
      • 오토마타온필름展 (8)
      • 어린이애니체험전 (4)
      • 상상마당 1기 전시회 (3)
      • 꼭두가 움직여요展 (3)
      • 전승일 애니메이이션展 (1)
    • 지난 연재 (27)
      • 고래가그랬어_시즌2 (13)
      • 고래가그랬어_시즌1 (12)
      • 월간 오토마타 매거진 (0)
      • 컬처뉴스 (2)
    • 메커니즘_동영상 (25)
    • 메커니컬 아트 (40)
      • Optical Arts (13)
      • Kinetic Art_Mechanical Arts (27)
    • Tool_Tip (81)
    • Books_관련정보 (33)
    • 해외오토마타 (66)
      • 작가_작품 (52)
      • 전시_워크샵 (14)
    • 좋아요! 예술 (13)
    • Contact (1)

검색 레이어

전승일의 <오토마타 공작소 I Love Automata>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승일 작가

  • [트라우마는 인간의 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감독: 전승일/29분/다큐멘터리/2015)

    2025.06.10 by 미메시스TV

  •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가나아트> 통권10호 (1989년 11.12월호)

    2025.05.06 by 미메시스TV

  •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역사비평 계간 5호" (1989년 여름/역사문제연구소)

    2025.04.28 by 미메시스TV

  • [국가보안법과 미술탄압 - 구속미술인 작품전 자료집] (1989.09.08/국가보안법 철폐와 구속미술인 석방을 위한 범미술인 공동대책위원회)

    2025.04.20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감독 '민주화운동관련자명예회복및보상심의위원회' 심사자료 (2006년/국가기록원)

    2025.04.03 by 미메시스TV

  • [아카이브]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작품 파괴 현장 (1989.06.30/한양대학교)

    2025.03.21 by 미메시스TV

  •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민족해방운동사 이적성향 감정서" (1989.08/서울대공전술연구소)

    2025.03.20 by 미메시스TV

  •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고 성완경 교수 의견서" (1989.12)

    2025.03.19 by 미메시스TV

  •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우리시대 우리미술>(이태호 지음/풀빛/1991)

    2025.03.10 by 미메시스TV

  •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민중미술 15년"전(국립현대미술관/1994)

    2025.03.09 by 미메시스TV

  •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가나아트> 통권10호 (1989년 11.12월호)

    2025.03.01 by 미메시스TV

  •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이탈과 변이의 미술>(서유리 지음/2022)

    2025.02.22 by 미메시스TV

  • [아카이브] 전승일 감독 89년 국가보안법 재심 청구 (2024.06.18/국가보안법폐지교육센터)

    2025.01.26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소셜미디어아트] AI 애니메이션 "탄핵 탄핵 !!"

    2025.01.23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감독 "89년 국가보안법 사건" 재심청구 언론보도 & 아카이브

    2025.01.07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미디어아트] "빛의 꽃을 바칩니다 !" 희생자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2024.12.31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감독, 겸재 정선 <금강전도> AI 융합 미디어아트 출발

    2024.10.18 by 미메시스TV

  • 태국 <인간+AI의 댄스 퍼포먼스 'Cyber Subin' 泰.未來>

    2024.10.10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그림] "리미티드 에디션 아트" 특별판매

    2023.12.03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파주시 공공미술 제작과정 ②

    2021.01.03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파주시 공공미술 프로젝트 <소공이음미술관>

    2020.09.20 by 미메시스TV

[트라우마는 인간의 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감독: 전승일/29분/다큐멘터리/2015)

트라우마는 인간의 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감독: 전승일29분_HD_다큐멘터리_2015 展 (대전시립미술관) 2015 인디다큐페스티벌 2015 제20회 인천인권영화제 ■ 시놉시스 애니메이션 감독 전승일은 학생미술운동을 하던 1989년 8월, 국가안전기획부 수사관들에게 집단구타를 당하면서 강제 연행된 후, 안기부 남산 지하밀실에서 19일 동안 불법구금 상태에서 고문과 가혹행위를 동반한 강압적인 조사를 받고,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구속되어 구치소에서 수감 생활을 하게 된다. 그 후 20여 년도 훨씬 더 지난 2012년 4월 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처음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공황장애’ 진단을 받고, 현재까지 심리 상담과 약물 치료를 받고 있다. ..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2025. 6. 10. 05:14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가나아트> 통권10호 (1989년 11.12월호)

격월간 미술잡지 통권10호(1989년 11.12월호) 기획특집 ① 전개과정: 80년대 한국사회의 변동과 미술운동 (심광현)② 소집단운동: 시대와 역사현실을 함께 호흡하는 집단창작 (최석태)③ 현실주의미술: 80년대 민족민중미술의 전개와 현실주의 (이영철)④ 현장미술: 80년대 현장미술의 발전과 걸개그림 (이태호)⑤ 미술탄압: 핍박의 굴레속에 성장한 민족 민주 통일의식 (홍선웅)⑥ 미술비평: 80년대 미술운동에서의 평론과 출판물 (박신의) 전승일 감독 "89년 국가보안법 사건" 재심청구 언론보도 & 아카이브 전승일 감독 "89년 국가보안법 위반사건" 재심청구 언론보도 & 아카이브전승일 감독 프로필 전승일 대표감독 소개2025년 업데이트 전승일 全承逸 Chon Seung-il Biography 1965..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2025. 5. 6. 14:00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역사비평 계간 5호" (1989년 여름/역사문제연구소)

전승일 감독 "89년 국가보안법 사건" 재심청구 언론보도 & 아카이브 전승일 감독 "89년 국가보안법 위반사건" 재심청구 언론보도 & 아카이브전승일 감독 프로필 전승일 대표감독 소개2025년 업데이트 전승일 全承逸 Chon Seung-il Biography 1965년 출생명지고등학교 졸업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동국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과 졸업www.iloveautomata.com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서유리 지음/2022)(서유리 지음/2022)" data-og-description="서유리 지음 / 소명출판 / 2022 책소개 불의한 시대에 미술관 밖으로 탈출하여 연약한 타자인 우리 자신을 향해 변이해 나갔던 한국 미술의 역사를 추적했다. 서양의 어떤 미술의 역사에서도 쉽게" ..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2025. 4. 28. 06:03

[국가보안법과 미술탄압 - 구속미술인 작품전 자료집] (1989.09.08/국가보안법 철폐와 구속미술인 석방을 위한 범미술인 공동대책위원회)

예술표현의 자유 유린하는 국가보안법 철폐하라!고문수사 용공조작 안기부를 해체하라!구속미술인 신학철, 홍성담, 정하수, 차일환, 백은일, 이태구, 전승일, 신동옥을 즉각 석방하라! 장소: 그림마당 민일시: 1989년 9월 8일(금) ~ 9월 14일(목)주최: 국가보안법 철폐와 구속미술인 석방을 위한 범미술인 공동대책위원회후원: 국가보안법 철폐와 양심수 석방을 위한 범국민운동본부 준비위원회 강연 9월 8일미술인 대량구속사건, 어떻게 볼 것인가? (곽대원_미술평론가)신학철과 홍성담의 작품세계 (박신의, 심광현_미술평론가) 9월 9일80년대 걸개그림과 (이태호_전남대 교수)역사그림과 이념그림, 그 과제와 전망 (성완경_인하대 교수) 9월 10일공안당국은 미술작품을 어떻게 보는가 (유홍준_미술평론가)세계의 저항..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2025. 4. 20. 22:54

전승일 감독 '민주화운동관련자명예회복및보상심의위원회' 심사자료 (2006년/국가기록원)

걸개그림은 우리나라 전통미술의 형식을 현대적으로 계승하고, 민중적인 역사관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근현대사를 형상화한 민족미술 작품이다. 전승일이 추구한 민족미술운동은 특히 노동계급과 농민 등 민중의 이익에 봉사하고, 민족자주예술을 지향하는 운동으로서 다분히 사회변혁적인 성격을 가졌던 것으로 볼 수 있는 바, 재판부가 판단한 것과 같은 '반국가단체인 북한공산집단의 활동에 동조하여 이를 이롭게 하는 행위를 하고자 한 목적'은 없었다. 전승일은 미술운동을 통해 사회변혁을 앞당기고 변혁운동에 기여하며 반독재민주화 반외세자주화 및 조국통일운동을 위해 투쟁한 것이다. 그러므로 전승일이 그림 제작에 참여한 것에 대해 국가보안법 위반을 적용한 것은 '예술과 표현의 자유'에 대한 근본적인 탄압이었으며, 특히 임수경 방북..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2025. 4. 3. 01:27

[아카이브]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작품 파괴 현장 (1989.06.30/한양대학교)

전승일 감독 "89년 국가보안법 사건" 재심청구 언론보도 & 아카이브 전승일 감독 "89년 국가보안법 사건" 재심청구 언론보도 & 아카이브전승일 감독 프로필 전승일 대표감독 소개2025년 업데이트 전승일 全承逸 Chon Seung-il Biography 1965년 출생명지고등학교 졸업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동국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과 졸업www.iloveautomata.com [아카이브] 전승일 감독 89년 국가보안법 재심 청구 (2024.06.18/국가보안법폐지교육센터) [아카이브] 전승일 감독 89년 국가보안법 재심 청구 (2024.06.18/국가보안법폐지교육센터)국가보안법이야기 1_2024.06.18 애니메이션 감독 전승일국가보안법 재심 청구 1989년 '민족해방운동사' 걸개그림 제작 참여..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2025. 3. 21. 09:17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민족해방운동사 이적성향 감정서" (1989.08/서울대공전술연구소)

전승일 감독 "89년 국가보안법 위반사건" 재심청구 언론보도 전승일 감독 "89년 국가보안법 위반사건" 재심청구 언론보도[단독]“길거리서 구타, 위법 구금”···항고심도 ‘국보법 위반’ 전승일 재심 사유 인정 (경향신문/2025.04.06) [단독]“길거리서 구타, 위법 구금”···항고심도 ‘국보법 위반’ 전승일 재심www.iloveautomata.com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서유리 지음/2022)(서유리 지음/2022)" data-og-description="서유리 지음 / 소명출판 / 2022 책소개 불의한 시대에 미술관 밖으로 탈출하여 연약한 타자인 우리 자신을 향해 변이해 나갔던 한국 미술의 역사를 추적했다. 서양의 어떤 미술의 역사에서도 쉽게" data-og-host="www.i..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2025. 3. 20. 12:57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고 성완경 교수 의견서" (1989.12)

이적표현물 규정에 대한 소견서(1989년 12월) 인하대학교 사범대학미술과 부교수 성완경 "사상과 표현의 자유는 민주사회 시민의 기본 권리이자 민주사회 존립의 토대가 되는 중요한 근거입니다." "이 그림을 법의 판정에 맡기려는 검찰의 시도 자체가 잘못된 것이며, 이 시도는 즉각 철회되어야 한다." "이 작품은 근대사 이래 민중이 역사의 주체로서 우리 민족이 처한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끊임없이 투쟁해왔다는 객관적 사실에 입각하여 그러한 민중의 정서를 훌륭하게 형상화한 민중문화, 민중미술의 기념비적인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우리의 민족미술의 전통을 올바로 계승하고, 다른 한편으로 세계적인 미술문화의 조류를 선구적으로 수용하여 철저히 우리의 필요에 입각함으로써 새로운 건강한 미술문화 건설을 시도해온 미술..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2025. 3. 19. 19:56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우리시대 우리미술>(이태호 지음/풀빛/1991)

우리시대 우리미술이태호 미술평론집1991 / 풀빛 "걸개그림 사건"재판정에 보낸 의견서 저자 소개 이태호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를 졸업했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사, 전남대학교 교수, 전남대학교박물관 관장,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박물관장, 문화예술대학원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 문화재위원, 국회입법조사처 자문위원, 한국 은행 화폐 도안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이야기 한국미술사』,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사람을 사랑한 시대의 예술, 조선후기 초상화』, 『우리시대 우리미술』,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한국 근대 서화의 재발견』, 『조선후기 산수화-옛 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2025. 3. 10. 23:07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민중미술 15년"전(국립현대미술관/1994)

민중미술 15년 : 1980~1994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구매 종류 MMCA 가족(7만원), MMCA 가족+(10만원) 구매 방법 서울관 안내데스크에서 현장 결제 등록 방법 서울관 안내데스크에서 '멤버십 선물하기 카드' 제시하고 회원 등록 사용 기간 멤버십 등록www.mmca.go.kr 전승일 감독 "89년 국가보안법 위반사건" 재심청구 언론보도 전승일 감독 "89년 국가보안법 위반사건" 재심청구 언론보도[단독]“길거리서 구타, 위법 구금”···항고심도 ‘국보법 위반’ 전승일 재심 사유 인정 (경향신문/2025.04.06) [단독]“길거리서 구타, 위법 구금”···항고심도 ‘국보법 위반’ 전승일 재심www.iloveautomata.com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서유리 지음/..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2025. 3. 9. 13:46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가나아트> 통권10호 (1989년 11.12월호)

격월간 미술잡지 통권10호(1989년 11.12월호) 기획특집 ① 전개과정: 80년대 한국사회의 변동과 미술운동 (심광현)② 소집단운동: 시대와 역사현실을 함께 호흡하는 집단창작 (최석태)③ 현실주의미술: 80년대 민족민중미술의 전개와 현실주의 (이영철)④ 현장미술: 80년대 현장미술의 발전과 걸개그림 (이태호)⑤ 미술탄압: 핍박의 굴레속에 성장한 민족 민주 통일의식 (홍선웅)⑥ 미술비평: 80년대 미술운동에서의 평론과 출판물 (박신의) 80년대 현장미술의 성과로서의 1) 의 내용2) 의 성과와 반성3) 맺음말: 90년대 미술운동의 과제와 전망 * 저자: 이태호 (전 전남대 교수, 미술사 / 현 명지대 석좌교수, 미술사학) 전승일 감독 "89년 국가보안법 위반사건" 재심청구 언론보도 전승일 감독 ..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2025. 3. 1. 09:54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이탈과 변이의 미술>(서유리 지음/2022)

서유리 지음 / 소명출판 / 2022 책소개 불의한 시대에 미술관 밖으로 탈출하여 연약한 타자인 우리 자신을 향해 변이해 나갔던 한국 미술의 역사를 추적했다. 서양의 어떤 미술의 역사에서도 쉽게 볼 수 없는 전대미문의 아방가르드가 1980년대의 민중미술이다. 민중미술은, 통치와 자본이 규율한 주체성과 장소성에서 벗어나 미술가가 시민 대중과 함께 세계를 바꾸어낼 힘을 만들어간, 이탈과 변이의 미술이었다.이 책은 다층적인 시점으로 민중미술의 역사를 재구성했다. 한국 사회의 격동의 시기였던 1980년대 초, 미술장의 구조가 재편되고 ‘현실과 발언’, 신학철, ‘임술년’ 등의 전위적 작가들이 극적으로 회화사적 전환을 이루어내면서 변화가 시작되었다. 전시장 안의 혁신에 이어서, 미술의 새로운 존재방식이 밖에서 실..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2025. 2. 22. 16:33

[아카이브] 전승일 감독 89년 국가보안법 재심 청구 (2024.06.18/국가보안법폐지교육센터)

국가보안법이야기 1_2024.06.18 애니메이션 감독 전승일국가보안법 재심 청구 1989년 '민족해방운동사' 걸개그림 제작 참여, 대학 캠퍼스에 전시했다는 이유로 불법 연행, 고문으로 유죄 판결 사면복권 되고 이후 민주화운동관련자로 인정되었지만 지금도 빨갱이 취급 그림은 1994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복원'하여 전시, 일부는 공식 도록에도 수록되는 등 민중예술 작품으로 인정 개인과 작품 모두 모순적 존재 국가보안법은 누구나 위험해질 수 있는 강력하고 억압적인 시스템, 지금 우리는 그런 억압이 없어도 되는 충분히 성숙한 사회 헌법과 국가기관이 인간 파괴. 고문은 그저 악몽 같은 옛 기억이 아니라 정신적, 육체적 상처로 남아 일상을 파괴 시간이 가도 트라우마의 강도는 그대로35년 고통에 국가가 대답해야 ..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2025. 1. 26. 02:36

[전승일 소셜미디어아트] AI 애니메이션 "탄핵 탄핵 !!"

키세스 시위대 AI 애니메이션 (감독: 전승일) 전승일 감독 프로필 [전승일 소셜미디어아트] AI 애니메이션 "탄핵 탄핵 윤석열 탄핵 !!" AI 기술을 활용하여 애니메이션의 '사회적 창작'을 탐구합니다.원본 그림은 페이스북에서 발견한 AI 이미지입니다.그림 원작자를 아시는 분 계시면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contact to : aniexe@daum.net AI 학습 이용 금지

전승일_소셜미디어아트 2025. 1. 23. 09:02

전승일 감독 "89년 국가보안법 사건" 재심청구 언론보도 & 아카이브

전승일 감독 프로필 전승일 대표감독 소개2025년 업데이트 전승일 全承逸 Chon Seung-il Biography 1965년 출생명지고등학교 졸업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동국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과 졸업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교수 역임www.iloveautomata.com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검사의 재항고를 기각한다." (2025.05.28) 어제(06.05) 병원에 있는데 민변 공동변호인단에서 연락이 왔습니다. 대법원에서 검사의 재항고를 기각시켜서 마침내 36년 만에 "89년 국가보안법 사건" 재심이 열릴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대법관 네 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작년 6월 10일에 "재심청구"를 시작했으니 거의 1년의 시간이 걸렸고.. 검찰청, 법원, 국..

카테고리 없음 2025. 1. 7. 00:55

[전승일 미디어아트] "빛의 꽃을 바칩니다 !" 희생자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전승일 감독 프로필  [전승일 미디어아트] "빛의 꽃을 바칩니다 !"AI generative image and animationⓒ 2024. Chon Seung-il All rights reserved. 희생자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태극(太極)은 음양 사상과 결합하여 만물을 생성시키는 우주의 근원, 즉 궁극적 실체를 의미합니다.만다라(Maṇḍala)는 본질의 것, 또는 본질을 담고 있는 것이라는 의미입니다.연화화생(蓮華化生)은 죽은 이가 정토(淨土)의 연꽃 속에서 다시 생명으로 태어난다는 뜻입니다.  contact to : aniexe@daum.net AI 학습 이용 금지

전승일_소셜미디어아트 2024. 12. 31. 08:45

전승일 감독, 겸재 정선 <금강전도> AI 융합 미디어아트 출발

겸재 정선 '금강전도(金剛全圖)' AI 융합 미디어아트https://www.news-art.co.kr/news/article.html?no=32632를 필자가 미디어아트 작업을 위해 부분 재구성했다. 이미지는 자유이용저작물(publ" data-og-host="www.news-art.co.kr" data-og-source-url="https://www.news-art.co.kr/news/article.html?no=32632" data-og-url="https://www.news-art.co.kr/news/article.html?no=32632" data-og-image="https://scrap.kakaocdn.net/dn/Fjr7W/hyXlPeCaer/XkF8qUi6KGXLkOlykSfC60/img...

공지사항 2024. 10. 18. 14:32

태국 <인간+AI의 댄스 퍼포먼스 'Cyber Subin' 泰.未來>

부산국제영화제 AI 컨퍼런스 중 가장 인상 싶었던 발표는 의 팻 파타라누타폰(Pat Pataranutaporn)이었다. PT 스크린 상단 문구는 "Designing Diverse AI: Against the Reduction and Homogenization of Culture through AI" 은 팻 파타라누타폰이 안무가 피체트 클룬춘(Pichet Klunchu)과 함께 만들어서 지난 3월 국립극장 무대에 올려졌다. 웹사이트 오픈랩 자료를 보니 AI 기술과 사이버네틱 이론을 적용한 태국 전통춤에 대한 그동안의 확장적 연구가 대단하다. 컨퍼런스 진행자는 팻 파타라누타폰을 소개할때 특별히 '과학자'라는 것을 강조했었고, 공연 안내 사이트에는 'technological shaman'이라는 표현이 나온다...

전승일_소셜미디어아트 2024. 10. 10. 13:37

[전승일 그림] "리미티드 에디션 아트" 특별판매

전승일 감독 프로필 작년 11월에 인공수정체가 탈구되어 어렵게 오른쪽눈 망막 수술을 했고, 올해 1월에 왼쪽눈 수정체 수술을 했습니다. 그런데 12.3 비상계엄 이후 안면 통증과 두통이 더 심해지고 있고, 최근들어 치통과 하악통증 그리고 척추통증으로 심각하게 번지고 있어서 매우 힘든 상황입니다. 현재 고양시 명지병원과 동국대일산병원 안과, 신경과, 치과, 이비인후과, 신경외과, 정형외과, 심장내과, 류마티스 내과 및 경희대병원 정신건강과와 통증의학병원을 다니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병원비가 너무 많이 지출되었습니다. 첫번째 눈수술때 많은 분들께서 작품을 구입해주시고 후원도 해주셔서 무사히 수술할수 있었는데요, 앞으로 병원 치료비를 감당하기에 어려운 상황입니다. 현재 민변 공익인권변론센터 공동변호인단과 함께..

공지사항 2023. 12. 3. 11:56

전승일 파주시 공공미술 제작과정 ②

파주시 공공미술 프로젝트 가온교 18미터 타일 벽화 작업

현재 전시/파주시 공공미술 2021. 1. 3. 10:59

전승일 파주시 공공미술 프로젝트 <소공이음미술관>

‘한반도 평화수도’ 파주시 소리천에 있는 5개의 다리(가온교, 한길육교, 책향기교, 미리내교, 칠간다리)에 지역 주민과 함께 하는 대규모 공공미술 프로젝트 ‘소공이음공공미술관’이 곧 시작됩니다 저는 가온교 하부 벽면에 ‘평화 무지개’를 주제로 하는 36미터 길이 대형 벽화를 맡게 되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경기도가 주최하고 파주시가 주관한 『2020 공공미술 프로젝트 '우리 동네 미술'」의 작가팀으로 소리천에 '소공이음공공미술관 사업을 제안한 예술작가팀 '그라피스'를 최종 선정하였다. 본 프로젝트는 코로나19 시대를 맞이하여 예술과 사회의 관계를 재정립하고, 다양한 유형의 미술활동으로 문화를 통한 지역공간의 품격을 제고하고 예술인 일자리 제공 및 주민 문화향유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추진된 사업이다 본 사업..

현재 전시/파주시 공공미술 2020. 9. 20. 17:0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전승일의 <오토마타 공작소 I Love Automata>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