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오토마타 공작소 I Love Automata>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전승일의 <오토마타 공작소 I Love Automata>

메뉴 리스트

  • HOME
  • TAG
  • MEDIA LOG
  • LOCATION LOG
  • GUEST BOOK
  • ADMIN
  • WRITE
  • category (1341)
    • 공지사항 (114)
    • 전승일_대표감독소개 (1)
    • 전승일_AI 영화와 예술 (16)
    • 전승일_소셜미디어아트 (24)
    •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13)
    • 신경다양성_장애예술 (2)
    • 오토마타의 역사와 개념 (2)
    • 우리나라 전통 오토마타 (10)
    •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97)
    • 전승일_브런치 연재 (2)
    • 전승일_조립키트 (3)
    • 전승일_오토마타 작품 (106)
      • 전승일_하트 연작 (45)
      • 전승일_죽안거마 연작 (2)
      • 전승일_고구려벽화 연작 (1)
      • 전승일_꼭두 연작 (14)
      • 전승일_기다림 연작 (16)
      • 전승일_마음상자 연작 (3)
      • 전승일_키네티카 연작 (13)
      • 전승일_페이퍼 오토마타 (2)
      • 전승일_윌리긱 (9)
      • 전승일_작품판매 (1)
    • 전승일_오토마타 교육 (207)
      • 교육_자료 (12)
      • 교육_상상마당 갤러리 (50)
      • 교육_바람개비 (15)
      • 교육_어린이_청소년 (51)
      • 교육_대학_성인 (47)
      • 기타 자료 (32)
    • 전승일_기타 자료 (160)
      • 전승일_오토마타 동영상 (33)
      • 전승일_주요 전시 포스터 (1)
      • 전승일_기사_인터뷰 (17)
      • 전승일_에세이 (57)
      • 전승일_기타 갤러리 (52)
    • 전승일_책_오토마타 공작실 (1)
    • 전승일_애니메이션 (25)
      • 전승일_애니메이션 (15)
      • 전승일_애니 컬럼 (10)
    • 예정전시 (1)
    • 현재 전시 (20)
      • 파주시 공공미술 (5)
      • 용산 조에트로프 (2)
      • 어린이 그림책 오토마타 (8)
      • 시민청 군기시 유적 전시실 (5)
    • 지난 전시_1 (79)
      • 한국과학창의재단 (28)
      • 구로문화재단 (4)
      • 경기문화재단 (1)
      • 국립과천과학관 (2)
      • 동해시 문화예술회관 (2)
      • 정읍시립미술관 (1)
      • 인사아트센터 (5)
      • 양평군립미술관 (1)
      • 전라북도과학교육원 (6)
      • 파주 교하아트센터 (14)
      • 서울아산병원 갤러리 (1)
      • 파주 운정행복센터 (1)
      • 파주 솔빛도서관 (1)
      • 일산역 전시관 (5)
      • 수원문화재단 조에트로프 (3)
      • 익산 석제품 전시홍보관 (1)
      • 부산과학체험관 전승일 특별전 (3)
    • 지난 전시_2 (116)
      • 양주 회암사지박물관 (16)
      • 스코틀랜드 무빙토이 특별전 (8)
      • 시흥 EVE 프로젝트 (1)
      • 고구려 벽화 오토마타展 (20)
      • 둘리뮤지엄 오토마타展 (1)
      • 畵畵 - 반려·교감展 (1)
      • 수원 화성 프로젝트 (20)
      • SICAF 전승일 초청전 (2)
      • 죽안거마 오토마타展 (11)
      • KT&G 상상마당 (1)
      • 전곡선사박물관 (7)
      • 포천아트밸리 (9)
      • 대한민국과학기술창작대전 (2)
      • 롯데백화점 김포공항점 (3)
      • 제9회 PLAY! AUTOMATA展 (2)
      • 제8회 [PLAY! AUTOMATA] 展 (5)
      • 제7회 PLAY! AUTOMATA展 (2)
      • 제6회 PLAY! AUTOMATA展 (3)
      • 제5회 PLAY! AUTOMATA展 (2)
    • 지난 전시_3 (52)
      • 파주 책만들며크는학교 (1)
      • 부천로보파크 특별전 (15)
      • 꿈꾸는 오토마타展 (2)
      • PLAY AUTOMATA展 (2)
      • 2012 여수 엑스포 (3)
      • 플레이! 오토마타展 (3)
      • 오토마타,영화와만나다展 (4)
      • 놀자! 오토마타展 (3)
      • 오토마타온필름展 (8)
      • 어린이애니체험전 (4)
      • 상상마당 1기 전시회 (3)
      • 꼭두가 움직여요展 (3)
      • 전승일 애니메이이션展 (1)
    • 지난 연재 (27)
      • 고래가그랬어_시즌2 (13)
      • 고래가그랬어_시즌1 (12)
      • 월간 오토마타 매거진 (0)
      • 컬처뉴스 (2)
    • 메커니즘_동영상 (25)
    • 메커니컬 아트 (40)
      • Optical Arts (13)
      • Kinetic Art_Mechanical Arts (27)
    • Tool_Tip (81)
    • Books_관련정보 (33)
    • 해외오토마타 (66)
      • 작가_작품 (52)
      • 전시_워크샵 (14)
    • 좋아요! 예술 (13)
    • Contact (1)

검색 레이어

전승일의 <오토마타 공작소 I Love Automata>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승일 ai 영화

  • [리서치] 2024년 최고의 해외 AI 아티스트 15명

    2025.03.12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AI 애니메이션 공부모임] AI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제작 (기초과정)

    2025.01.29 by 미메시스TV

  • [AI animation] <시왕도(十王圖) - 화탕지옥, 거해지옥> (감독: 전승일)

    2025.01.16 by 미메시스TV

  • [전시] 2025 사이아트센터 AI ART 특별기획전 1부 (01.14~02.02/사이아트스페이스 더플럭스)

    2025.01.12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미디어아트] "빛의 꽃을 바칩니다 !" 희생자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2024.12.31 by 미메시스TV

  • [비상계엄 연작] AI 애니메이션 <DESTROY>(전승일 감독 작품_2024)

    2024.12.29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감독 AI 영화, 국제 영화제 석권 (뉴스아트/09.30)

    2024.10.02 by 미메시스TV

  • AI 애니메이션 <Tree>(원작: 김경렬, 감독: 전승일) 작품 정보

    2024.09.04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92회차 (2021.03.16)

    2021.03.16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91회차 (2021.03.09)

    2021.03.09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86회차 (2021.01.26)

    2021.01.26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85회차 (2021.01.19)

    2021.01.19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80회차 (2020.12.08)

    2020.12.08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79회차 (2020.12.01)

    2020.12.01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66회차 (2020.08.26)

    2020.08.26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65회차 (2020.08.18)

    2020.08.19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52회차 (2020.04.28)

    2020.04.28 by 미메시스TV

[리서치] 2024년 최고의 해외 AI 아티스트 15명

'에서 업로드한 동영상" data-video-play-service="daum_tistory" data-original-url=""> 소우웬 청(Sougwen Chung) Sougwen Chung은 AI를 창작 과정에 통합한 현대 캐나다 AI 아티스트입니다. Chung의 작업은 기술, 로봇공학, 예술의 교차점을 탐구합니다. Chung은 인간과 기계의 관계와 두 가지 사이의 창의성과 협업의 잠재력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녀의 예술 설치물은 종종 상호 작용적인 요소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시청자는 예술 작품에 참여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녀는 또한 Google, Facebook, MIT를 포함한 회사 및 기관과 협력하여 AI와 로봇 분야를 탐구했습니다.  레픽 아나돌(Refik Anado..

전승일_AI 영화와 예술 2025. 3. 12. 12:17

[전승일 AI 애니메이션 공부모임] AI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제작 (기초과정)

전승일 감독 프로필 AI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제작 (기초과정)국내외 200여 영화제에서 인정받은 전승일 감독과 함께, AI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제작의 세계로 들어가보세요.독립애니메이션부터 AI 영화, 미디어아트까지 30년간의 창작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대의 애니메이션 제작 방법을 공부합니다. 이 4주 과정에서는 AI 애니메이션의 기초부터 제작방법, 그리고 미래 가능성까지 살펴봅니다. 첫 주에는 AI 애니메이션의 핵심 원리와 특징을 이해하고, 감독의 최신작 , , 등을 통해 실제 제작 사례를 살펴봅니다. 2주차에서는 KLING, Runway, Hailuo, KREA 등 주요 AI 영상 생성 도구들의 활용법을 살펴보고, 3주차에는 자신만의 시각표현이 담긴 작품을 AI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하는 방식을 공..

전승일_소셜미디어아트 2025. 1. 29. 02:08

[AI animation] <시왕도(十王圖) - 화탕지옥, 거해지옥> (감독: 전승일)

AI 애니메이션 [AI 애니메이션] 시왕도(十王圖) - 초강대왕 화탕지옥(初江大王 火湯地獄) AI 애니메이션 전승일 감독 프로필 불교 세계관에 따르면 인간의 사후 세계는 저승사자와의 만남에서 시작해 3년여에 걸쳐 열 명의 왕(十王)에게 차례로 심판을 받는다. 시왕도(十王圖)는 지옥에서 죽은 자의 죄를 심판하는 열 명의 왕을 그린 불화(佛畫)로서 망자가 지옥에서 받는 여러가지 형벌들이 섬세하게 그려져있다. 아름답고 훌륭한 우리 그림이다. 화탕지옥(火湯地獄)은 거대한 무쇠솥에 물을 끓이고 있는 지옥으로 두번째 왕인 초강대왕(初江大王)의 심판에 통과하지 못한 죄인들이 떨어지는 지옥이다. 이 곳에서의 형벌은 무쇠솥에서 끓여지는 것이다. 무쇠솥에는 죄질에 따라 똥물, 용암, 황산 등이 끓여진다. 거해지옥(鉅解..

전승일_소셜미디어아트 2025. 1. 16. 03:06

[전시] 2025 사이아트센터 AI ART 특별기획전 1부 (01.14~02.02/사이아트스페이스 더플럭스)

전시작가 : 심철웅  노진아  전승일  허윤정 전시일정 : 2025.01.14 ~ 02.02 관람시간 : Open 12:00 ~ Close 18:00 (화~일)전시장소 : 갤러리 더플럭스 더플로우 (서울 종로구 윤보선길 28, 2층 / 02-3663-7537)  전승일 감독 프로필 ART AFTER AI 현대사회는 인공지능 AI(Artificial Intelligence)기술이 일상화 되어갈 뿐만 아니라 이 기술이 다양한 차원에서 인간의 사회와 문화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에 따라 인류는 AI 기술 발전이 인류에게 발전과 확장을 가져오게 할 것인지, 아니면 인류가 만들어낸 사회 문화적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대체하는 본질적 차원에서의 상상 이상 의 변화를 만들어낼 것인지 등 AI가 파생시킬 것으로..

공지사항 2025. 1. 12. 16:38

[전승일 미디어아트] "빛의 꽃을 바칩니다 !" 희생자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전승일 감독 프로필  [전승일 미디어아트] "빛의 꽃을 바칩니다 !"AI generative image and animationⓒ 2024. Chon Seung-il All rights reserved. 희생자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태극(太極)은 음양 사상과 결합하여 만물을 생성시키는 우주의 근원, 즉 궁극적 실체를 의미합니다.만다라(Maṇḍala)는 본질의 것, 또는 본질을 담고 있는 것이라는 의미입니다.연화화생(蓮華化生)은 죽은 이가 정토(淨土)의 연꽃 속에서 다시 생명으로 태어난다는 뜻입니다.  contact to : aniexe@daum.net AI 학습 이용 금지

전승일_소셜미디어아트 2024. 12. 31. 08:45

[비상계엄 연작] AI 애니메이션 <DESTROY>(전승일 감독 작품_2024)

https://youtu.be/LuMQ4wQQnkoAI 애니메이션 [DESTROY] (감독: 전승일) 감독 프로필  [비상계엄 연작] AI 애니메이션 (감독: 전승일 / 35초 / HD / 2024) 국민을 향해 총칼을 겨눈 것은 명백한 내란범죄이다 !  contact to : aniexe@daum.net AI 학습 이용 금지

전승일_소셜미디어아트 2024. 12. 29. 11:43

전승일 감독 AI 영화, 국제 영화제 석권 (뉴스아트/09.30)

, 콘진원 주최 AI 콘텐츠 페스티벌 2024 참가작 선정덴버 독립영화제 최우수 실험영화상 수상 등 해외 러브콜 이어져AI 기술과 전통 예술의 융합으로 새로운 미학 개척 전승일 감독의 AI 예술영화들이 국내외 영화제에서 연이어 주목받으며 한국 AI 영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특히 2024년 제작된 , , 3편은 지금까지 32곳의 국제 영화제에서 초청 상영 및 수상하며 작품성과 예술성을 인정받고 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작품 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최하는 "AI 콘텐츠 페스티벌 2024" 참가작으로 선정되어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서울 코엑스 더 플라츠에서 상영될 예정이다. 이는 AI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영상 콘텐츠로서의 예술적 가능성을 국내에서도 인정받은 결과..

공지사항 2024. 10. 2. 03:09

AI 애니메이션 <Tree>(원작: 김경렬, 감독: 전승일) 작품 정보

Generative AI Art FilmTree감독: 전승일원작그림 : 김경렬 4분 14초 / HD / 2024 감독 프로필 유튜브 보기 서울로미디어캔버스 네이처프로젝트 선정작(주최: 서울특별시) AI 콘텐츠 페스티벌 2024 선정작(주최/주관: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5 pexma 피어 영상제상영작(복합문화공간 피어 컨템포러리) Official Selection & Awards(2025.07.26 기준) Denver Indie Film Festival (미국) Best Experimental Film Amsterdam Movie Festival (네덜란드)Best Experimental FilmPhoenix International Short Film Festival (영국)Best..

전승일_AI 영화와 예술 2024. 9. 4. 10:54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92회차 (2021.03.16)

현대 SF 소설의 거장, 아이작 아시모프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컬럼 - 92회 알렉스 프로야스(Alex Proyas, 1963~) 감독이 2035년 근미래를 배경으로 2004년에 제작한 SF 영화 아이 로봇(I, Robot)>에는 “첫째, 로봇은 인간에게 위해를 가할 수 없으며, 인간이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 방관해서도 안 된다. 둘째, 첫 번째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 한 로봇은 인간의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 셋째, 첫 번째와 두 번째 원칙을 위배하지 않는 선에서 로봇은 자신의 존재를 보호해야 한다.”라는 ‘로봇 3원칙’이 등장한다.  이 ‘로봇 3원칙(Three Laws of Robotics)’은 로버트 A. 하인라인(Robert Anson Heinlein), 아서 C. 클라크(Arthur Charles..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2021. 3. 16. 16:37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91회차 (2021.03.09)

가상과 현실을 넘나드는 미디어 아트, 제프리 쇼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컬럼 - 91회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제프리 쇼(Jeffrey Shaw, 1944~)는 멜버른 대학교에서 건축과 미술사을 공부하고, 이탈리아 브레다 아카데미(Brera Academy)에서 조각을 전공한 후, 일찍이 네덜란드 시그마 프로젝트(Sigma Projects)와 독일 예술과 매체기술센터(ZKM)의 ERG(Eventstructure Research Group)의 일원으로 각종 디지털 테크롤로지를 활용하여 다양한 상호대화형 비주얼 아트와 설치미술을 선보이고 있는 현대 디지털 뉴미디어 아트의 선도적인 작가이다. 제프리 쇼의 1989년 작품 Legible City>는 관객이 전시장 안에 고정되어 있는 자전거의 페달을 밟으면서 마치 게임..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2021. 3. 9. 12:12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86회차 (2021.01.26)

현대 초현실주의 사진가 '에릭 요한슨'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컬럼 - 86회 초현실주의(Surrealism)는 1917년 시인 기욤 아폴리네르(Guillaume Apollinaire)에 의해 처음으로 만들어진 용어로서, 1924년 프랑스의 시인 앙드레 브르통(Andre Breton)이 발표한 ‘초현실주의 선언(Surrealist Manifesto)’과 기관지 ‘초현실주의 혁명(The Surrealist Revolution)’을 통해 본격적으로 전개된 20세기의 대표적인 예술운동이다. 초현실주의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 호안 미로(Joan Miro), 르네 마그리트(Rene Magritte), 막스 에른스트(Max Ernst), 이반 골(Yvan Goll), 알베르토 자..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2021. 1. 26. 09:33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85회차 (2021.01.19)

문학과 역사, 미디어 아트를 만나다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컬럼 - 85회 기술적 상상력과 창의성의 시대, 21세기 예술은 기술, 인문학, 예술의 삼각 컨소시엄과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생산과 배급 형태가 만들어지고 있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생명(Artificial Life),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상호작용(Interaction), 융합(Convergence) 등은 이러한 21세기 현대예술 창작의 중요한 키워드이다. 21세기 현대예술의 핵심적 특징을 제시하면서, 1999년 발표된 텍스트 레인(Text Rain)>은 미국의 미디어 아티스트 카밀 우터백(Camille Utterback)과 이스라엘 출신의 멀..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2021. 1. 19. 12:10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80회차 (2020.12.08)

수학적 아름다움, 프랙탈 아트의 세계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컬럼 - 80회 프랙탈(fractal)은 폴란드 출신의 수학자 브누아 망델브로(Benoît Mandelbrot, 1924~2010)가 처음으로 쓴 용어로서, 작은 조각의 모양이 전체와 비슷한 기하학적 형태로 끝없이 반복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프랙탈 구조의 이러한 특징을 자기 유사성(self similarity)이라고 하며, 그 어원은 ‘조각난’ 혹은 ‘파편의’라는 뜻의 라틴어 ‘fractus’에서 유래했다. 프랙탈 구조은 풀잎, 나무껍질, 눈송이 등 우리 주변의 자연 현상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프랙탈 아트(Fractal Art)는 프랙탈의 구조와 형태적 특징을 기하학적 조형으로 표현하는 예술로서, 주요 작가로는 영국의 데스몬드 폴 헨리(Des..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2020. 12. 8. 09:47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79회차 (2020.12.01)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골란 레비’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컬럼 - 79회 현대 미디어 아트는 과학, 미술, 디자인, 음악, 영화 등 전통적인 장르 영역을 넘나들며 문화예술 전반에 걸쳐 새로운 융복합 시대를 만들고 있다. 특히 디지털 컴퓨팅(computing) 기술의 혁신적인 발달에 힘입어 현대 미디어 아트는 관람객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을 창출하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미국 뉴욕 출신의 미디어 아티스트 골란 레비(Golan Levin, 1972~)은 이러한 경향을 작품을 통해 제시하고 있는 대표적인 작가 가운데 한 명이다. 골란 레비는 메사추세츠 공과대학(MI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과학, 미디어 아트, 디자인을 공부하고..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2020. 12. 1. 11:01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66회차 (2020.08.26)

가상현실과 GPS 정보, 미디어 아트로 만나다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컬럼 - 66회 도쿄예술대학교(Tokyo University of the Arts)의 영화 및 뉴미디어(Film and New Media) 전공 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마사키 후지하타(藤幡正樹, Masaki Fujihata, 1956~)는 70년대에 8mm와 16mm 필름으로 실험 애니메이션 작업을 하였고, 80년대부터 비디오 매체와 디지털 기술을 결합한 인터랙티브 뉴미디어 아트 창작활동을 하고 있는 선구적인 작가이다. 그의 작품 인상적인 속도(Impressing Velocity)>는 GPS(위성항법시스템: Global Positioning Network) 기술을 활용하여 1992년부터 1997년까지 진행한 일본의 랜드마크 후지산(..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2020. 8. 26. 17:58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65회차 (2020.08.18)

현대예술로 발전한 과학기술, 라파엘 로자노헤머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컬럼 - 65회 멕시코 출신의 라파엘 로자노헤머(Rafael Lozano-Hemmer, 1967~)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일렉트로닉 미디어 아트 분야에서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현대 작가로서, 캐나다 몬트리올에 있는 콘코디아 대학교(Concordia University)에서 물리 화학을 전공하였다.  몬트리올 분자 인식 연구소(Molecular Tecognition Lab in Montreal)에서 근무하며 화학 논문을 발표한 적이 있는 라파엘 로자노헤머는 1995년 개인전 ‘ARCO 95 - The Trace’를 기점으로 각종 전자 장치와 과학기술을 활용한 미디어 아트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1997년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2020. 8. 19. 15:37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52회차 (2020.04.28)

디지털 미디어 아트의 선두주자, 팀랩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컬럼 - 52회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혁신적인 발전으로 인한 현대예술의 가장 큰 변화와 특징은 창작자와 작품, 그리고 관객 간의 상호작용(intera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개념의 예술에서는 작품과 관람자 간의 ‘미적 거리(Aesthetic distance)’를 전제로 하지만, 60년대 이후 형성되기 시작한 현대 인터랙티브 아트(Interactive Art)에서는 이러한 ‘거리’가 사라지고, 양방형 인터랙션 및 관객의 직접적 개입과 경험이 강조되기 시작한다. 일본의 디자인 집단 ‘팀랩(teamLab)’은 디지털 영상 및 프로젝션 맵핑 작품을 통해 이러한 인터랙티브 아트의 신세계를 창조하고 있는 대표적인 선두 그룹으로, 2001년 도..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2020. 4. 28. 11:1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전승일의 <오토마타 공작소 I Love Automata>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