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오토마타 공작소 I Love Automata>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전승일의 <오토마타 공작소 I Love Automata>

메뉴 리스트

  • HOME
  • TAG
  • MEDIA LOG
  • LOCATION LOG
  • GUEST BOOK
  • ADMIN
  • WRITE
  • category (1340)
    • 공지사항 (114)
    • 전승일_대표감독소개 (1)
    • 전승일_AI 영화와 예술 (15)
    • 전승일_소셜미디어아트 (24)
    • 민족해방운동사 아카이브 (13)
    • 신경다양성_장애예술 (2)
    • 오토마타의 역사와 개념 (2)
    • 우리나라 전통 오토마타 (10)
    •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97)
    • 전승일_브런치 연재 (2)
    • 전승일_조립키트 (3)
    • 전승일_오토마타 작품 (106)
      • 전승일_하트 연작 (45)
      • 전승일_죽안거마 연작 (2)
      • 전승일_고구려벽화 연작 (1)
      • 전승일_꼭두 연작 (14)
      • 전승일_기다림 연작 (16)
      • 전승일_마음상자 연작 (3)
      • 전승일_키네티카 연작 (13)
      • 전승일_페이퍼 오토마타 (2)
      • 전승일_윌리긱 (9)
      • 전승일_작품판매 (1)
    • 전승일_오토마타 교육 (207)
      • 교육_자료 (12)
      • 교육_상상마당 갤러리 (50)
      • 교육_바람개비 (15)
      • 교육_어린이_청소년 (51)
      • 교육_대학_성인 (47)
      • 기타 자료 (32)
    • 전승일_기타 자료 (160)
      • 전승일_오토마타 동영상 (33)
      • 전승일_주요 전시 포스터 (1)
      • 전승일_기사_인터뷰 (17)
      • 전승일_에세이 (57)
      • 전승일_기타 갤러리 (52)
    • 전승일_책_오토마타 공작실 (1)
    • 전승일_애니메이션 (25)
      • 전승일_애니메이션 (15)
      • 전승일_애니 컬럼 (10)
    • 예정전시 (1)
    • 현재 전시 (20)
      • 파주시 공공미술 (5)
      • 용산 조에트로프 (2)
      • 어린이 그림책 오토마타 (8)
      • 시민청 군기시 유적 전시실 (5)
    • 지난 전시_1 (79)
      • 한국과학창의재단 (28)
      • 구로문화재단 (4)
      • 경기문화재단 (1)
      • 국립과천과학관 (2)
      • 동해시 문화예술회관 (2)
      • 정읍시립미술관 (1)
      • 인사아트센터 (5)
      • 양평군립미술관 (1)
      • 전라북도과학교육원 (6)
      • 파주 교하아트센터 (14)
      • 서울아산병원 갤러리 (1)
      • 파주 운정행복센터 (1)
      • 파주 솔빛도서관 (1)
      • 일산역 전시관 (5)
      • 수원문화재단 조에트로프 (3)
      • 익산 석제품 전시홍보관 (1)
      • 부산과학체험관 전승일 특별전 (3)
    • 지난 전시_2 (116)
      • 양주 회암사지박물관 (16)
      • 스코틀랜드 무빙토이 특별전 (8)
      • 시흥 EVE 프로젝트 (1)
      • 고구려 벽화 오토마타展 (20)
      • 둘리뮤지엄 오토마타展 (1)
      • 畵畵 - 반려·교감展 (1)
      • 수원 화성 프로젝트 (20)
      • SICAF 전승일 초청전 (2)
      • 죽안거마 오토마타展 (11)
      • KT&G 상상마당 (1)
      • 전곡선사박물관 (7)
      • 포천아트밸리 (9)
      • 대한민국과학기술창작대전 (2)
      • 롯데백화점 김포공항점 (3)
      • 제9회 PLAY! AUTOMATA展 (2)
      • 제8회 [PLAY! AUTOMATA] 展 (5)
      • 제7회 PLAY! AUTOMATA展 (2)
      • 제6회 PLAY! AUTOMATA展 (3)
      • 제5회 PLAY! AUTOMATA展 (2)
    • 지난 전시_3 (52)
      • 파주 책만들며크는학교 (1)
      • 부천로보파크 특별전 (15)
      • 꿈꾸는 오토마타展 (2)
      • PLAY AUTOMATA展 (2)
      • 2012 여수 엑스포 (3)
      • 플레이! 오토마타展 (3)
      • 오토마타,영화와만나다展 (4)
      • 놀자! 오토마타展 (3)
      • 오토마타온필름展 (8)
      • 어린이애니체험전 (4)
      • 상상마당 1기 전시회 (3)
      • 꼭두가 움직여요展 (3)
      • 전승일 애니메이이션展 (1)
    • 지난 연재 (27)
      • 고래가그랬어_시즌2 (13)
      • 고래가그랬어_시즌1 (12)
      • 월간 오토마타 매거진 (0)
      • 컬처뉴스 (2)
    • 메커니즘_동영상 (25)
    • 메커니컬 아트 (40)
      • Optical Arts (13)
      • Kinetic Art_Mechanical Arts (27)
    • Tool_Tip (81)
    • Books_관련정보 (33)
    • 해외오토마타 (66)
      • 작가_작품 (52)
      • 전시_워크샵 (14)
    • 좋아요! 예술 (13)
    • Contact (1)

검색 레이어

전승일의 <오토마타 공작소 I Love Automata>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승일 감독

  • 전승일 감독 소개 2024

    2024.06.25 by 미메시스TV

  • AI 아트를 시작하며 (뉴스아트 연재)

    2024.05.28 by 미메시스TV

  • [2023년] 전승일 감독 단편애니메이션 지역 특별상영회

    2024.05.26 by 미메시스TV

  • <노래극 오월> 공연 사진 (2023.05.23)

    2024.04.28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그림] "리미티드 에디션 아트" 특별판매

    2023.12.03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86회차 (2021.01.26)

    2021.01.26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파주시 공공미술 제작과정 ②

    2021.01.03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파주시 공공미술 제작과정 ①

    2020.12.24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80회차 (2020.12.08)

    2020.12.08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65회차 (2020.08.18)

    2020.08.19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58회차 (06.16)

    2020.06.17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57회차 (06.09)

    2020.06.09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53회차 (2020.05.13)

    2020.05.13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39회차 (2020.01.14)

    2020.01.15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13회차 (6.11)

    2019.06.11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사이언스타임즈> 과학융합예술 컬럼 연재

    2019.02.26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감독 네이버 인물정보 수정

    2018.08.10 by 미메시스TV

  • 광주민중항쟁 애니메이션 <오월상생>(감독: 전승일/2007년 작품)

    2014.05.22 by 미메시스TV

  • [컬럼] "라이브 애니메이션 Live Animation"을 구현하다! (2013.05.26)

    2013.05.26 by 미메시스TV

전승일 감독 소개 2024

전승일 全承逸 Chon Seung-il Biography 1965년 출생명지고등학교 졸업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동국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과 졸업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교수 역임계원예술대학교 공간연출과 겸임교수 역임부산예술대학교 만화예술과 교수 역임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부 초빙교수 역임전주국제영화제 애니메이션 비엔날레 프로그래머 역임 공황장애(F41.0)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F43.1)를 갖고 있는 신경다양성 예술가 현재 대표감독으로독립 애니메이션, AI Image & Film, 오토마타, 키네틱 아트 창작 및 연구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2023~ 현재 : 대표감독2011~2016 : KT&G 상상마당  책임강사 2024~ 현재 : 뉴스아트 연재 중2019~2021 :   ..

공지사항 2024. 6. 25. 00:43

AI 아트를 시작하며 (뉴스아트 연재)

AI 애니메이션 제작과정 - with Runway AI  https://www.news-art.co.kr/news/article.html?no=31046을 로 컨셉을 바꾸어 새로운 연재를 시작한다. 예술은 인간의 생각과 감성, 사유와 사상" data-og-host="www.news-art.co.kr" data-og-source-url="https://www.news-art.co.kr/news/article.html?no=31046" data-og-url="https://www.news-art.co.kr/news/article.html?no=31046" data-og-image="https://scrap.kakaocdn.net/dn/cAk8w5/hyV9WA30Zk/4R91q7r4YE2wN91CxwzFek..

전승일_AI 영화와 예술 2024. 5. 28. 16:09

[2023년] 전승일 감독 단편애니메이션 지역 특별상영회

전승일 애니메이션 특별전2023년 5월 18일 / 대구 오오극장 전승일 감독 특별전2023년 5월 20일 / 서울 아리랑시네센터 전승일 감독 애니메이션 제주도 상영회2023년 5월 23일 / 제주문화재단 예술공간 이아 전승일 감독 애니메이션 울산 상영회2023년 5월 31일 / 울산시청자미디어센터 전승일 애니메이션 LA 상영회2023년 5월 20일 / LA 한국교육원 전승일 감독 애니메이션 지역상영회(뉴스아트/2023.04.28)

공지사항 2024. 5. 26. 22:22

<노래극 오월> 공연 사진 (2023.05.23)

광주 5.18을 추모하다, 토다 5집 앨범 광주 5∙18을 추모하다, 토다 5집 앨범· 시작하며 지금까지 토다(TODA)의 1집에서 부터 4집 앨범까지 자세하게 소개를 드렸습니다. 각각의 앨범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에 링크된 글들을 참고해 주세요. 1집 앨범 T.O. to Dream Age에toda.joyfulkim.com

카테고리 없음 2024. 4. 28. 04:12

[전승일 그림] "리미티드 에디션 아트" 특별판매

전승일 감독 프로필 작년 11월에 인공수정체가 탈구되어 어렵게 오른쪽눈 망막 수술을 했고, 올해 1월에 왼쪽눈 수정체 수술을 했습니다. 그런데 12.3 비상계엄 이후 안면 통증과 두통이 더 심해지고 있고, 최근들어 치통과 하악통증 그리고 척추통증으로 심각하게 번지고 있어서 매우 힘든 상황입니다. 현재 고양시 명지병원과 동국대일산병원 안과, 신경과, 치과, 이비인후과, 신경외과, 정형외과, 심장내과, 류마티스 내과 및 경희대병원 정신건강과와 통증의학병원을 다니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병원비가 너무 많이 지출되었습니다. 첫번째 눈수술때 많은 분들께서 작품을 구입해주시고 후원도 해주셔서 무사히 수술할수 있었는데요, 앞으로 병원 치료비를 감당하기에 어려운 상황입니다. 현재 민변 공익인권변론센터 공동변호인단과 함께..

공지사항 2023. 12. 3. 11:56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86회차 (2021.01.26)

현대 초현실주의 사진가 '에릭 요한슨'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컬럼 - 86회 초현실주의(Surrealism)는 1917년 시인 기욤 아폴리네르(Guillaume Apollinaire)에 의해 처음으로 만들어진 용어로서, 1924년 프랑스의 시인 앙드레 브르통(Andre Breton)이 발표한 ‘초현실주의 선언(Surrealist Manifesto)’과 기관지 ‘초현실주의 혁명(The Surrealist Revolution)’을 통해 본격적으로 전개된 20세기의 대표적인 예술운동이다. 초현실주의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 호안 미로(Joan Miro), 르네 마그리트(Rene Magritte), 막스 에른스트(Max Ernst), 이반 골(Yvan Goll), 알베르토 자..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2021. 1. 26. 09:33

전승일 파주시 공공미술 제작과정 ②

파주시 공공미술 프로젝트 가온교 18미터 타일 벽화 작업

현재 전시/파주시 공공미술 2021. 1. 3. 10:59

전승일 파주시 공공미술 제작과정 ①

파주시 공공미술 프로젝트 가온교 36미터 벽화를 4분 작가님들과 함께 제작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시/파주시 공공미술 2020. 12. 24. 19:45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80회차 (2020.12.08)

수학적 아름다움, 프랙탈 아트의 세계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컬럼 - 80회 프랙탈(fractal)은 폴란드 출신의 수학자 브누아 망델브로(Benoît Mandelbrot, 1924~2010)가 처음으로 쓴 용어로서, 작은 조각의 모양이 전체와 비슷한 기하학적 형태로 끝없이 반복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프랙탈 구조의 이러한 특징을 자기 유사성(self similarity)이라고 하며, 그 어원은 ‘조각난’ 혹은 ‘파편의’라는 뜻의 라틴어 ‘fractus’에서 유래했다. 프랙탈 구조은 풀잎, 나무껍질, 눈송이 등 우리 주변의 자연 현상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프랙탈 아트(Fractal Art)는 프랙탈의 구조와 형태적 특징을 기하학적 조형으로 표현하는 예술로서, 주요 작가로는 영국의 데스몬드 폴 헨리(Des..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2020. 12. 8. 09:47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65회차 (2020.08.18)

현대예술로 발전한 과학기술, 라파엘 로자노헤머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컬럼 - 65회 멕시코 출신의 라파엘 로자노헤머(Rafael Lozano-Hemmer, 1967~)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일렉트로닉 미디어 아트 분야에서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현대 작가로서, 캐나다 몬트리올에 있는 콘코디아 대학교(Concordia University)에서 물리 화학을 전공하였다.  몬트리올 분자 인식 연구소(Molecular Tecognition Lab in Montreal)에서 근무하며 화학 논문을 발표한 적이 있는 라파엘 로자노헤머는 1995년 개인전 ‘ARCO 95 - The Trace’를 기점으로 각종 전자 장치와 과학기술을 활용한 미디어 아트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1997년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2020. 8. 19. 15:37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58회차 (06.16)

기계공학과 운동예술의 교차점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컬럼 - 58회 Machine with 23 Scraps of Paper / Ⓒ Arthur Ganson 사이언스타임즈 바로가기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2020. 6. 17. 08:33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57회차 (06.09)

애니메이션과 다큐멘터리의 융합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컬럼 - 57회 / Ⓒ Frederic Back 바로가기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2020. 6. 9. 22:10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53회차 (2020.05.13)

JR의 공동체 예술 프로젝트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컬럼 - 53회 미국의 건축가이자 그래픽 디자이너 리차드 솔 워먼(Richard Saul Wurman)과 영국 출생의 그래픽 디자이너 해리 마크스(Harry Marks)에 의해 1984년 ‘널리 알릴 가치가 있는 아이디어(Ideas worth spreading)’를 슬로건으로 하는 TED(Technology, Entertainment, Design) 강연회가 만들어졌다. 과학, 기술, 예술, 오락,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를 주제로 하는 TED 강연회는 2005년부터 ‘세상을 바꾸는 소망(wish to change the world)’을 가진 사람들에게 수여하는 TED상(TED Prize)을 제정했다. 주요 수상자로는 사진가 에드워드 버틴스키(Edward ..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2020. 5. 13. 14:29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39회차 (2020.01.14)

사회비판적 포토몽타주, 존 하트필드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컬럼 - 39회  20세기 초반의 아방가르드 예술운동인 다다(Dada) 가운데 독일 베를린 다다 그룹의 게오르그 그로츠(George Grosz, 1893~1959), 존 하트필드(John Heartfield, 1891~1968), 한나 회흐(Hannah Hoch, 1889~1978), 라울 하우스만(Raoul Hausmann, 1886~1971) 등은 서구 미술의 전통적인 형식을 부정하며, ‘포토몽타주(Photomontage)’를 통해 다양한 사회비판적 시각 이미지를 생산했다. 게오르그 그로츠는 친구인 존 하트필드를 표현한 엔지니어 존 하트필드>(1920)를 통해 ‘사진은 과학과 산업의 산물이며, 몽타주는 기계 생산물의 조립과 가공을 의미한다’라고 ..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2020. 1. 15. 15:13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13회차 (6.11)

자연과 수학, 그리고 예술의 만남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컬럼 - 13회 (2012) / Ⓒ 이석연 바로가기

전승일_과학융합예술 컬럼 2019. 6. 11. 16:55

전승일 <사이언스타임즈> 과학융합예술 컬럼 연재

전승일 프로필 보기  한국과학창의재단 전승일 '과학융합예술' 컬럼 연재 (2019~2021)  1회차 : 도구 발명 역사는 예술과 함께였다 2회차 : 예술이 결합된 기계 장난감 3회차 : 미래를 내다본 150년 전 과학소설 4회차 : 고대 그리스의 움직이는 기계장치 '오토마타' 5회차 : 일본 전통 과학기술과 오토마타 6회차 : 위트와 풍자가 넘치는 '기계만화'  7회차 : 현대미술로 발전한 기계 '키네틱 아트' 8회차 : 미국의 과학 잡지와 휴고 상(賞) 9회차 : 최초의 영화, '애니메이션'의 탄생 10회차 : 영화의 역사에 바치는 애니메이션 오마주 11회차 : 철학적 미적 이상을 담은 '오토마타' 12회차 : 과학과 미술의 만남 '카메라 옵스큐라' 13회차 : 자연과 수학, 그리고 예술의 융합 14..

공지사항 2019. 2. 26. 18:07

전승일 감독 네이버 인물정보 수정

전승일 대표감독 네이버 인물정보 내용 수정 바로가기

공지사항 2018. 8. 10. 15:23

광주민중항쟁 애니메이션 <오월상생>(감독: 전승일/2007년 작품)

유튜브 영화보기   Memory of May> 감독_각본 : 전승일 / 26분 14초 / 단편 옴니버스 /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 실험 다큐 / 2007미술감독 : 오진희배경어시스트 : 김소희원화 : 강현영, 고광현, 김진주, 나정인, 차용호동화 : 곽인근, 박예린, 오재현, 이병주, 이은영, 이혜영, 홍은지, 황정미음악 : 강은영, MOT, 꽃다지, 정마리, 허클베리 핀 / 이루마, 조경옥, 최도은음향_믹싱 : 영화진흥위원회촬영 : 김병희, 이대영공동제작 : 스튜디오 미메시스배급 : 인디스토리제작 : 5·18 기념재단1980년 5월, 군사반란으로 권력을 장악한 신군부는계엄해제를 요구하는 광주 시민들을 총칼로 무자비하게 학살하는 만행을 자행한다.민주주의를 향한 도도한 물결이 핏빛 주검으로 처참하게 압..

전승일_애니메이션/전승일_애니메이션 2014. 5. 22. 01:30

[컬럼] "라이브 애니메이션 Live Animation"을 구현하다! (2013.05.26)

한국영상자료원 애니메이션 칼럼 원고 (2013.05.15) ‘라이브 애니메이션 Live Animation’을 구현하다! 전승일 (독립 애니메이션 감독) 필름과 비디오에 기반한 애니메이션에서 프레임과 프레임은 서로 넘어갈 수 없는, 서로 다른 ‘시간’에 있는 이미지이고, 이 스틸 컷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보여져서 움직이는 이미지, 즉 애니메이션이 된다. 그런데 영화와 애니메이션이 탄생하기 이전, 즉 19세기 ‘프리-시네마(Pre-Cinema)’ 시대의 대표적인 광학장난감(Optical Toys)인 페나키스티스코프, 조에트로프, 프락시노스코프 등이 21세기에 들어서서 새롭게 변화하고 있는 바, 이 글에서는 19세기 옵티컬 토이가 21세기에 어떻게 새롭게 변화되어 재탄생하고 있는지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보면서..

전승일_애니메이션/전승일_애니 컬럼 2013. 5. 26. 20:3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전승일의 <오토마타 공작소 I Love Automata>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